성공하는 아이에게는 미래형 커리큘럼이 있다.
이지성지음, 랜덤하우스, 2005년 11월 30일 발행
철학 고전, 어떻게 읽힐 것인가?
철학 고전독서 목록Ⅰ
초등학교 5학년 : 파이돈(범우사), 논어(홍익출판사), 맹자(홍익출판사)
초등학교 6학년 : 프로타고라스(범우사), 노자(범우사), 장자(범우사), 손자(범우사), 시학(문예출판사), 묵자(홍익출판사)
중학교 1학년 : 니코마코스 윤리학(서광사), 한비자(한길사)
중학교 2학년 : 의무론(서광사), 최고선악론(서광사), 방법서설(문예출판사)
철학 고전독서 목록Ⅱ
초등학교 5학년 : 에우튀프론(서광사), 소크라테스의 변명(서광사), 크리톤(서광사), 프로타고라스(범우사), 손자(범우사)
초등학교 6학년 : 소피스테스((한길사), 정치가(한길사), 한비자(한길사)
중학교 1학년 : 티마이오스(서광사), 영혼에 관하여(궁리)
중학교 2학년 : 범주론∙명제론(이제이북스)
지속적으로 전교 일등을 하는 아이를 둔 부모의 공통점
1. 즐거운 인생마인드를 갖고 있다.
2.학원을 두 곳 이상 보내지 않는다.
3. 텔레비전을 거의 보지 않는다.
4. 독서광인 경우가 많다.
5. 학교에 거의 찾아가지 않는다.
6. 아이보다 열심히 공부한다.
주요 과목의 공부비법
국어, 교과서에 길이 있다
국어 교과서만큼 완벽한 글쓰기 교재를 찾아보기 힘들다.
가르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국어 교과서를 소리 내서 여러 번 읽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워드프로세서 자격증 획득에 관심이 많아서 타자 연습 교재로 국어 교과서를 제시하면 즐겁게
쓴다. 이런 식으로 읽기 교과서 한 권만 떼면 글쓰기 능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한다.
수학, 계산 잘 한다고 안심하지 마라
빨간 동그라미가 가득 그려진 수학 시험지를 믿지 마라. 그것은 공식만 외우면 누구나 풀 수 있는 산수 시험지일 가능성이 크다. 아이의 진짜 수학 점수를 알고 싶다면 교과서 문제를 그대로 내 주고, 이 문제는 도대체 무엇을 알기 위해 푸는 것인지를 질문해 보라. 그것이 바로 진정한 수학 문제이다.
수학을 잘하는 아이로 키우는 방법은 매우 쉽다. 수학 교과서를 활용하라. 수학 교과서에 나와 있는 계산 문제에 목숨 걸지 말고, 계산 문제 위에 나와 있는 문장들에 주목하라. 그리고 아이에게 계산 문제는 바로 이 문장들을 이해하기 위한 장치에 불과한 것임을 이해시켜라.수학을 잘하는 아이는 산수를 저절로 잘하게 되지만, 산수만 잘하는 아이는 절대로 수학을 잘할 수 없다.
사회, 지식 지도를 뀌어라
사회 전과를 보면 장이 시작되는 첫 페이지마다 그 장에 대한 요약이 나온다. 그 부분을 복사한 종이를 코팅해서 수시로 읽어 보는 것, 이것이 바로 사회 잘하는 아이가 가진 비장의 코팅술이다.
과학, 100번 외우기보다 한 번 실험하기
과학 과목의 공부방법
첫째, 아이에게 과학 실험 시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라는 메시지를 끊임없이 강력하게 전달하라.
둘째, 실험 관찰 교과서를 수시로 검사하라. 잘 기록한 부분은 칭찬을 해 주고 그렇지 않은 부분은 전과를 참조하여 보충하게 한다.
셋째, 학교에서 과학 실험을 한 날에는 어머니가 직접 검사 시험을 보라. 갱지 한 장을 주고 오늘 한 실험의 목적, 과정, 결과를 쓰게 한다.
넷째, 학교 선생님이 설명만 하고 넘어갔거나, 과학실에 가지 않고 교실에서 대표 실험을 한 경우에는 가능하며 아이와 직접 실험을 해 보라. 실험할 여건이 안 되면 비디오 자료나 인터넷 자료를 구해서 아이에게 보여 주어라.
자녀와의 친밀감을 테스트해 보라
동그라미가 일곱 개 이상이면 아이가 나를 편안하게 생각하고, 여섯 개에서 네 개까지는 중간, 세 개 이하이면 불편하게 생각하다고 할 수 있다.
1. 아이가 나를 볼 때마다 활짝 웃는가?
2. 아이가 나에게 수시로 찰싹 달라붙는가?
3. 아이가 나와 닮았다고 이야기하는 긍정적인 대상이 있는가?
4. 아이가 나를 졸졸 쫓아다니는가?
5. 아이가 나에게 비밀을 털어놓는가?
6. 아이가 나에게 사랑의 하트 몸짓을 해 주는가?
7. 아이가 나에게 요즘 학교에서 유행하는 은어를 알려 주는가?
8. 아이가 내 앞에서 요즘 유행하는 충동작을 시연하는가?
9. 최근 아이로부터 선물받은 적이 있는가?
10. 아이가 내 앞에서 친구나 학교 이야기를 하루 한 번 이상 하는가?
'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호석 동시선집 (0) | 2015.06.25 |
---|---|
서정윤 '홀로서기' (0) | 2015.06.23 |
한국대하역사소설 (0) | 2015.06.22 |
창작동화 "청대골 아이들과 꿀 따는 아저씨"를 읽고 나서 (0) | 2015.06.21 |
멍 때리지마 (0) | 2015.06.19 |